7. 끼워맞춤과 클리어런스

끼워맞춤 선정이 부적절한 경우, 크립(Creep) 손상이, 클리어런스 선정이 부적절한 경우, 소착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끼워맞춤

끼워맞춤이란, 베어링 내륜 내경과 축 외경의 관계, 또는 베어링 외륜 외경과 하우징 내경과 같이, 서로 맞닿는 축과 하우징의 치수나 공차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기계 가공 시의 편차를 공차라 하며, 끼워맞춤은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적합

끼워맞춤의 중요성

산업용 모터와 같은 내륜 회전 하중 조건(내륜 : 억지끼워맞춤, 외륜 : 헐거운끼워맞춤)에서 부하 하중, 끼워맞춤면의 거칠기, 운전 중의 온도 등에 의해 끼워맞춤양이 감소하여 끼워맞춤면에 틈새가 생기면, 프레팅(※)이나 크립(다음 페이지 참조)이 발생하기 쉬워집니다.
그대로 계속 사용하면, 베어링 설치부에 마모, 진동, 또는 이상 발열이 발생합니다.
(※) 두 접촉면 사이의 상대적 반복 미소 미끄럼에 의한 마모

과대한 억지끼워맞춤(끼워맞춤양 大)으로 베어링을 축에 조립하면, 내륜 재료의 인장 강도를 초과한 응력 집중에 의해, 내륜의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내륜 균열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조립 시의 내륜 팽창으로 베어링 내부 클리어런스가 감소하여 이상 발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사용 조건을 고려한 끼워맞춤양 설정이 중요합니다.

내부 프레팅

내륜 프레팅

갉아먹는 내부 링 크리프

뜯김 손상을 동반한 내륜 크립

내부 균열

내륜의 축방향의 균열

이너 압류와는

내륜의 소착

크립(Creep)

구름베어링이 작은 끼워맞춤양으로 축에 설치되어, 내륜에 하중을 받아서 회전하면, 내륜과 축 사이에 원주 방향의 유해한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해한 미끄러짐은 크립이라 하며, 다음의 이유에 의해 끼워맞춤양이 감소하면 발생하기 쉬워집니다.

하중 방향에 대해 궤도륜이 정지(내륜 또는 외륜 정지 하중)해 있으면, 궤도륜을 끼워맞춤면에서 움직이는 힘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한편 하중 방향에 대해 궤도륜이 회전(내륜 또는 외륜 회전 하중)하고, 그 끼워맞춤면에 틈새가 있으면(발생하면), 원주 방향으로 크립됩니다. 내륜 회전 하중의 경우, 끼워맞춤양 감소의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내륜은 레이디얼 하중이 부하되면 부하권에서 경방향으로 압축되므로, 원주 길이가 약간 길어져, 끼워맞춤양이 감소합니다.
  • 축과의 압입에 의해, 표면이 미세하게 소성 변형되어 끼워맞춤양이 감소합니다.
  • 운전 중의 베어링 온도 상승에 의해 끼워맞춤양이 감소합니다.
갉아먹는 내부 고리 크리프의 예

갉아먹는 내부 고리 크리프의 예

크리프 발생 메커니즘

크리프 생성 메커니즘

내륜과 축의 끼워맞춤양이 감소하여, 내륜과 축 사이에 틈새(c)가 생기는 경우, 끼워맞춤 단면에 있어서, 내륜측(내륜 내경)의 원주 길이 : π(d + c)는 축측(축 외경)의 원주 길이 : πd 보다 길어집니다.

따라서, 축이 회전할 때, 내륜의 회전은 축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늦어지게 됩니다. (왼쪽 애니메이션 참조)

끼워맞춤면의 틈새 c라 하면, 1회전에 πc만큼 축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합니다.

끼워맞춤 선정

선택 항목 맞추기

내륜 회전 하중 : 하중은 내륜의 회전을 따라가지 않습니다. (내륜 부하권이 변화합니다.)
외륜 정지 하중 : 하중은 외륜의 회전을 따라갑니다. (외륜 부하권이 변화하지 않습니다.)
내륜 정지 하중 : 하중은 내륜의 회전을 따라갑니다. (외륜 부하권이 변화하지 않습니다.)
외륜 회전 하중 : 하중은 외륜 회전을 따라가지 않습니다. (외륜 부하권이 변화합니다.)

축의 끼워맞춤

축의 끼워맞춤
(끼워맞춤 공차 범위 : f, g, h, j, js, k, m, n, p, r)

샤프트 장착
치수 공차 맞춤(Fit Dimension Tolerance)
  1. 기준 치수
  2. 하우징의 끼워맞춤 공차 범위
  3. IT 허용 등급
    IT 공차 등급 : ISO가 규정한 공차 등급이며, IT는 International Tolerance의 약자입니다.

 

내부 클리어런스

하우징의 끼워맞춤
(끼워맞춤 공차 범위 : F, G, H, J, JS, K, M, N, P)

하우징 구멍 장착
치수 공차 맞춤(Fit Dimension Tolerance)
  1. 기준 치수
  2. 하우징의 끼워맞춤 공차 범위
  3. IT 공차 등급
    IT Tolerance Grade: ISO에서 규정한 허용 오차 등급으로 IT는 International Tolerance의 약자입니다.

 

내부 클리어런스

내부 클리어런스("클리어런스"라고도 합니다)는, 베어링의 내륜 · 외륜과 전동체의 사이의 틈새의 양입니다. 즉 내륜 또는 외륜 중 하나를 고정하고, 나머지 궤도륜을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일 때의 움직임양입니다.

내부 클리어런스의 크고 작음은 피로 수명, 진동, 소음, 발열 등, 베어링 성능에 크게 영향을 줍니다.

일반적으로 안정된 측정치를 얻기 위해, 베어링에 정해진 측정 하중을 부하하여, 내부 클리어런스를 측정합니다.

그러므로 측정된 클리어런스의 값은 측정 하중에 따라 탄성 변형량만큼, 이론 내부 클리어런스(레이디얼 베어링에서는 :기하 클리어런스:라고도 합니다)의 수치보다, 약간 크게 됩니다.("측정 클리어런스"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론 내부 클리어런스는 그 탄성 변형에 따른 클리어런스의 증가량을 보정해서 구하게 됩니다. 롤러베어링은 그 탄성 변형량이 작으므로, 무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방사형 내부 클리어런스 / 축 방향 내부 클리어런스

내부 클리어런스의 감소

초기 클리어런스

조립 전의 (내부)클리어런스입니다.

이론 내부 클리어런스 또는 기하학적 클리어런스라고도 합니다.

 

초기 클리어런스

잔류 클리어런스

베어링 조립 후의 클리어런스입니다.
축 또는 하우징에 끼워맞춤양을 주어, 궤도륜을 설치하면, 궤도륜은 팽창 또는 수축하고, 클리어런스가 감소합니다.

잔류 클리어런스

유효 클리어런스

운전 중의 클리어런스입니다.

일반적으로 축보다 하우징은 방열성이 높으므로, 내외륜 사이에 온도차가 발생하여, 열팽창 차이에 의해 클리어런스가 감소합니다.

효과적인 클리어런스

유효 클리어런스와 베어링 수명의 관계

효과적인 간극과 베어링 수명 사이의 관계

이론적으로 베어링의 유효 클리어런스(Δ)가 약간 마이너스(-)일 때, 가장 장수명입니다.

그리고 더욱 클리어런스가 감소하면 왼쪽 그래프와 같이 수명은 급격히 감소합니다.

때문에 실기의 각종 오차를 고려하여, 유효 클리어런스는 "0"보다 약간 큰 클리어런스가 되도록 베어링 클리어런스를 선정합니다.

베어링 내부 클리어런스는 베어링 수명에 있어 아주 중요하므로 ISO / JIS에 세밀하게 분류되어 있습니다.

내부 클리어런스의 선정

레이디얼 베어링의 내부 클리어런스는 C1, C2, 보통(CN), C3, C4, C5의 순서로 점점 커집니다.

보통 클리어런스(CN)보다 큰 클리어런스(C3, C4, C5)를 선정하는 경우
  1. 축의 휨이 과대한 등, 설치 오차를 허용해야 하는 경우
  2. 중공축에 증기가 통과하는 등, 내륜 온도가 높은 경우
  3. 큰 하중이나 충격 하중을 고려하여, 끼워맞춤양을 크게 하는 경우
  4. 고속 회전을 고려하여, 내륜 끼워맞춤양을 크게 하는 경우
  5. 내외륜 모두, 억지끼워맞춤인 경우
베어링 내부 클리어런스
보통 클리어런스보다 작은 클리어런스(C2)을 선정하는 경우
  1. 회전 시의 음향이나 진동을 보다 억제해야 하는 경우
  2. 내외륜 모두, 헐거운끼워맞춤인 경우
  3. 축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등, 조립 후의 클리어런스 조정을 하는 경우

내부 클리어런스 기호

내부 클리어런스 기호

※ 비호환성 클리어런스는 공차 범위가 작으므로 내외륜을 서로 다른 베어링과 바꿀 수 없습니다.

깊은홈볼베어링, 원통롤러베어링 및 자동조심 롤러베어링의 경우, 클리어런스 기호의 바로 다음에 ”E”를 붙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보다 저소음의 제품임을 의미하는 NSK의 음향 기호입니다.

내부 클리어런스 기호